나래 61집(1999, 상반기)에 수록-정리 권갑하 <주소 복사가 안 보여서 통째로 복사를 하여서 죄송함>김우연 ◆ 백수 정완영 선생님 말씀 지상중계 아직 못 다 부른 나의 詩, 나의 人生 정리 권갑하 1 (신년 인사말이 오고 간 뒤, 선생님께서는 참석한 동인 개개인에게 동시조집 <엄마 목소리>를 일일이 날인하여 나눠주셨다. 잔.. 기타 문학관련(이론) 2016.09.26
월간문학 신인상 입상자 명단(1회-136회) 월간문학 신인상(시조부문) -한국문인협회 홈페이지 내용을 참고로 작성함 * 가작을 제외하면, 김남환 시인이 첫 당선자이다. 1970년대에 11명, 1980년대에 32명, 1990년대에 30명, 2000년대에 30명, 2010년-2015년에는 12명 이다. 46년동안 모두 115명이 월간문학으로 등단하였다. 횟수(연도) 시인 작.. 기타 문학관련(이론) 2016.02.02
김천 최초로 신춘문예에 입상한 인물 (배병창, 정완영)-민경탁 김천 최초로 신춘문예에 입상한 인물(민경탁).hwp 김천 최초로 신춘문예에 입상한 인물 신춘문예를 통하여 김천에서 최초로 등단한 인물은 배병창(1927∼1976), 정완영(1919∼)님이다. 두 분은 최초 등단 연도가 동일하다. 배병창 님은 1960년 1월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현대시조 「기(旗)」.. 기타 문학관련(이론) 2016.01.31
더 열려야 할 시조(3)-音步에 대한 단상(이종문) 더 열려야 할 시조(3)-음보에 대한 단상(이종문).hwp 더 열려야 할 시조(3)-音步에 대한 단상 이종문 2. 시조는 음보의 단위인가, 아니면 하나의 묶음으로 호응하여 읽혀지는 율독의 단위인가. 이와 같은 질문에 대하여 필자의 의견을 먼저 말한다면 음보는 물론 의미와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 기타 문학관련(이론) 2016.01.28
시조의 음보는 율독의 단위(이종문) 음보의 율격단위(이종문)-대구시조 제16호(2012).hwp 시조의 음보는 율독의 단위(이종문) 시조의 음보는 현대시조의 시원적 바탕인 고시조에서부터 의미의 단위가 아니라 율독의 단위였다고 생각된다. 무수한 고시조를 바탕으로 하여 시조의 기본형을 연구한 조윤제, 서원섭 등 국문학자들.. 기타 문학관련(이론) 2016.01.28
묘사와 진술(이지엽) 현대시조 쓰기(묘사와 진술)-이지엽.hwp 묘사와 진술(이지엽) 시에서 묘사description와 진술statement은 매우 중요한 두 축이다. 좋은 시는 묘사와 진술의 절묘한 조화에서 탄생된다. 묘사에 치중한 시는 산뜻해서 보기는 좋지만 깊은 맛이 덜하게 마련이다. 묘사는 언어를 회화적인 방향으로 .. 기타 문학관련(이론) 2015.11.17
역동적 이미지 분석 (이병기, 낙엽)-이솔희 역동적 이미지 분석-이병기 연시조(이솔희).hwp 역동적 이미지 분석 (이병기, 낙엽)-이솔희 먼저 이병기의 연시조의 역동적 이미지에 대해 분석해 보기로 하겠다. 담머리 굴참나무 그늘도 짙을러니 높은 가지 끝에 한두닢 달려 있고 소소리 바람이 치는 벌써 가을이구려 지는닢 너도 어이 .. 기타 문학관련(이론) 2015.11.17
역동적 이미지(3)/이솔희 역동적 이미지1(이솔희).hwp 역동적 이미지(3) 최기 한국 이미지즘은 회화성이 강조된 에이미지즘이 도입되었다. -이솔희, 위의 논문, 166쪽. 김기림은 정지용과 신석정의 작품에서 특히 이미지 부문을 조명하고 있다. 그러나 회화성을 강조하다 보면 자칫 이미지가 가지고 있는 의미를 간과.. 기타 문학관련(이론) 2015.11.17
역동적 이미지(2)/이솔희 역동적 이미지1(이솔희).hwp 역동적 이미지(2) 따라서 이미지는 의미 확장을 위해 단편적이고 평면적 이미지에서 복합적이고 입체적인 이미지로 발전해 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 먼저 단편적인 이미지에서 복합적인 이미지로 나아가는 정도에 따라 감각적 이미지, 비유적 이미지, 상징적 이.. 기타 문학관련(이론) 2015.11.17
역동적 이미지(1)(이솔희) 역동적 이미지1(이솔희).hwp 역동적 이미지 (1) 즉, 하나의 작품에서 각각의 이미지가 보여주는 심리적 회화에서 시작하여 유추에 의해 좀 더 확장되고 입체적인 의미가 형성되고 이러한 이미지들은 더 나아가 각각의 상호 작용에 의해 역동적인 이미지가 형성된다는 것이다. 위에서 말한 .. 기타 문학관련(이론) 2015.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