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문(묵 값은 내가 낼게)-조춘희 평론(시조시학 2014겨울호) 9.시조시학2014겨울-이종문( 조춘희평론).hwp <시 시집을 주목한다> 시조(時調)를 즐기는 다른 방식‘들’ -이종문,『묵 값은 내가 낼게』(서정시학) 조춘희 2. 해락(偕樂); 이종문, 유쾌한 말 걸기 자주 비평 언어의 무력함을 절감한다. 시가 길을 내고 정갈하게 다듬어 놓은 공간을, 그 .. 평론가들의 시조평론(잡지) 2017.05.09
8. 민병도(칼의 노래)- 조춘희(시조시학 2014겨울호) 8.시조시학2014겨울-민병도( 조춘희평론).hwp <시 시집을 주목한다> 시조(時調)를 즐기는 다른 방식‘들’ -민병도,『칼의 노래』(목언예원) 조춘희 2. 동락(同樂); 민병도, ‘선동’의 언어 민병도 시인은 우리를 선동(煽動)한다. 선동(煽動)의 언어로 수시로 우리를 두드린다. 어울림, 함.. 평론가들의 시조평론(잡지) 2017.05.09
7. 한분순(저물 듯 오시는 이)-조춘희 평론(시조시학 2014 겨울) 7.시조시학2014겨울-한분순( 조춘희평론).hwp <시 시집을 주목한다> 시조(時調)를 즐기는 다른 방식‘들’ -한분순,『저물 듯 오시는 이』(인간과 문학사) 조춘희 즐김의 미학과 오늘의 시조 시절이 하, 수상하다. 참담함의 연속, 절망이 스멀거린다. 이런 때일수록 문학은 그 역할에 대.. 평론가들의 시조평론(잡지) 2017.05.09
강현수 (장백산 외)- 박성민 평론(시조시학 2011 겨울호) 6. 강현수(장백산외 1)-박성민 평론(시조시학 2011 겨울호).hwp 장백산 강현수 장백산이면 어떻고 백두산이면 또 어떤가 그것이 고집이라면 그대로 불러주마 산 아래 금단의 마을, 휘파람에 묻어난다. 이쯤에서 바라보면 남도 북도 남녘이다. 동해물과 백두산이 다 말라야 할 것인가 젖 달라,.. 평론가들의 시조평론(잡지) 2017.05.06
노중석 시집(꿈틀대는 적막) 평론(박지현)-시조시학 2011겨울 5.시조시학2011겨울-노중석( 박지현 평론).hwp <시 시집을 주목한다> 생명서설(序說), 꽃의 향기와 기억 재생 -노중석 시집『꿈틀대는 적막』(동학사) 박지현 삶의 주변은 늘 생명의 속삭임으로 가득하다. 생명의 크기는 중요하지 않다. 외형적 부피는 피상적 관심일 뿐 그 속을 채운 강.. 평론가들의 시조평론(잡지) 2017.05.06
김미정 '고요한 둘레' -박몽구(시조시학 2011겨울호) 4.시조시학2011겨울-김미정.hwp <시 시집을 주목한다> 시조의 지평을 넓히는 부단한 상상력 -김미정 시집『고요한 둘레』(동학사) 박몽구 가을이 깊어가면서 튼실하게 결과한 상수리 열매들을 보면 저절로 부자가 된 느낌이 든다. 상수리 열매들이 파란 가을 하늘을 그어내리는 소리를 .. 평론가들의 시조평론(잡지) 2017.05.06
박희정- 들꽃 사전 :『시조시학』(2011겨울호, 통권 41호), 3.시조시학2011겨울-박희정, 김미정.hwp <시 시집을 주목한다> 시조의 지평을 넓히는 부단한 상상력 -박희정 시집『들꽃사전』(책만드는 집) -김미정 시집『고요한 둘레』(동학사) -이 광 시집『소리가 강을 건넌다』(동학사) 박몽구 가을이 깊어가면서 튼실하게 결과한 상수리 열매들.. 평론가들의 시조평론(잡지) 2017.05.05
정용국(시조시학 2011겨울)-민병도 '들풀' 2. 민병도시집 -들풀-(시조시학2011겨울)-정용국.hwp 시조시학(2011겨울) 「세월없이 자라는 상처에 내리는 시」에서 정용국 3.『들풀』에 내려와 앉은 ‘청동의 배’-『들풀』 『원효』,『내 안의 빈집』,『마음 저울』,『슬픔의 상류』,『청동의 배를 타고』,『불이의 노래』,『지상의 하.. 평론가들의 시조평론(잡지) 2017.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