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한 송이 우담화(優曇華)로 핀『손님별』 우아지 손님별 서평.hwp <서평> 한 송이 우담화(優曇華)로 핀『손님별』 김우연 우아지 시인의 네 번째 시조집 『손님별』에는 4부 50편의 작품을 싣고 있다. 50편의 작품 속에는 원숙한 삶이 녹아 있다. 그래서 자신이나 사회를 바라보는 시각이 균형이 잡혀 있다. 시조의 형식을 빌어.. 김우연의 동인지, 시집 평론 2016.02.23
푸른 신호등인 이정원의 『코드 55』-김우연 푸른 신호등인 이정원의 코드 55-현대시조(2016. 봄)-김우연.hwp 푸른 신호등인 이정원의 『코드 55』 김우연 영원한 젊은이 지산(止山) 선생 떠올리면 한파가 다가와도 열기 더욱 뜨거워라 4·18 피끓던 선창에 매화꽃이 피었다. 대밭의 푸른 바람이 책장마다 일렁이고 과거가 없으면 미래가 .. 김우연의 동인지, 시집 평론 2016.02.23
맥35집『가득한 기억의 곳간』 맥35집『가득한_기억의곳간』(2015연간집김우연)-수정.hwp 맥35집『가득한 기억의 곳간』 김우연 1. 들어가며 1979년에 창립한 맥시조문학회 연간집 맥35집『가득한 기억의 공간』이 2015년 10월에 발간되었다. 대부분의 회원들은 조주환 명예회장님의 지도로 등단하였다. 지역적으로는 경주 .. 김우연의 동인지, 시집 평론 2016.01.10
참시조의 꽃이 피었습니다-참제9집(2015) 참시조의 꽃이 피었습니다-참제9집(김우연).hwp 참시조의 꽃이 피었습니다 -참제9집(2015) 김우연 1. 들어가며 2015년도 저물어 이틀을 남기고 참시조문학회의 연간집 『참제9집』(2015)를 받았다. 그리고 단숨에 끝까지 밤늦도록 다 읽었다. 그것은 재미와 감동으로 다가왔기 때문이다. 읽고 .. 김우연의 동인지, 시집 평론 2016.01.01
강지원론-현대의 고독감과 그 너머를 향한 손짓 강지원론-현대의 고독감과 그 너머를 향한 손짓.hwp 강지원론 -현대의 고독감과 그 너머를 향한 손짓 김우연 1. 들어가며 강지원 시인의 첫 시조집 『잡화 살롱』(책만드는집, 2015)은 70편의 단시조 및 연시조가 아주 참신한 모습으로 독자에게 다가온다. 그것은 시집 해설 끝맺는 말에서도 .. 김우연의 동인지, 시집 평론 2015.12.24
수채화 길 -시눈동인 제11집 수채화의 길 시눈동인 제11집(김우연).hwp 수채화 길 -시눈동인 제 11집 김우연 1. 시조의 여울인 동인 시눈동인 제 11집 『수채화 길』(한글문화사, 2015)의 발간은 현대시조문학사에 또 하나의 발자취를 남겼다. 연간집 제11집이라면 한창 젊은 나이에 해당한다. 그래서 자연 연령에 관계없이.. 김우연의 동인지, 시집 평론 2015.12.02
소박하고도 진실한 삶의 노래-심인자론 소박하고도 진실한 삶의 노래-심인자론.hwp 소박하고도 진실한 삶의 노래 -심인자론 김우연 1. 들어가며 심인자 시인의 첫 시조집 『거기, 너』가 세상에 나왔다. 시집에는 시인의 삶이 물씬 배어 있는 일상의 삶에서 치밀한 묘사를 통하여 우리에게 감동을 주는 시들로 가득하다. 시집을 .. 김우연의 동인지, 시집 평론 2015.11.20
최형심-모서리 당신 긍정의 미학-최형심론.hwp 눈물을 웃음으로 바꾸는 긍정의 미학 -최형심론 김우연 최형심 시인의 첫 시조집 『모서리 당신』(도서출판 그루, 2015)의 발간을 축하하면서 시인의 이름으로 한때 일반인들 사이에 유행하던 3행시를 써 보았다. 최선의 정성으로 아름다운 돌탑 쌓고 형형한 눈빛.. 김우연의 동인지, 시집 평론 2015.11.11
김세환-가을 보법 서평 김세환,『가을 보법(步法)』서평-김우연.hwp 대구시조 19호(2015) 게재 예정 낮춤과 비움의 인간미 -김세환, 『가을 보법(步法)』 김우연 김세환 시인은 약관의 나이에 등단하였다. 그동안 자신만의 색깔을 분명히 하면서 칠순을 맞이하여 제6시조집 『가을 보법(步法)』(학이사, 2015)을 세상.. 김우연의 동인지, 시집 평론 2015.10.21
정희경론-도시의 삶과 자연과의 조화(김우연) 정희경론(2015.9).hwp 정희경론 -도시의 삶과 자연과의 조화 김우연 1. 정희경 시인의 첫시조집 『지슬리』(2014)에는 16편씩 5부로 되어 있으며 모두 80편의 시조를 실었다. 단시조 12편(15%), 연시조 72편(84%), 사설시조 1편(1%)이다. 연시조는 2수 연시조 24편(30%), 3수의 연시조 38편(48%)로 나타나고 .. 김우연의 동인지, 시집 평론 2015.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