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확인으로서의 사랑의 고백록 -이정원의 『얼레와 어금니』(김우연) 사랑의 고백록(이정원-얼레와 어금니 해설)-김우연해설.hwp 자기 확인으로서의 사랑의 고백록 -이정원의 『얼레와 어금니』 김우연 1. 서정의 원리와 속성 구현 희수(喜壽)의 기념으로 세상에 드러낸 이정원 시인의 제3시조집『얼레와 어금니』(책만드는 집, 2015)는 “아내, 어머니, 그리고.. 김우연의 동인지, 시집 평론 2015.01.21
자기 초달의 치열한 삶-리강룡의 『신지리』 신지리(리강룡)_해설(최종).hwp 자기 초달의 치열한 삶 -리강룡의 『신지리』 김우연 1. 리강룡의 시인의 4번째 시조집『신지리』(도서출판 고요아침, 2014)는 그 제목이 도연명의 귀거래사(歸去來辭)를 연상케 한다. 그러나 도연명의 ‘귀거래사’는 자신의 능력을 알아주지 않는 현실에 대.. 김우연의 동인지, 시집 평론 2015.01.16
맥34해설 맥 34해설.hwp 맥34집 「잎들의 짙푸른 갈채」에 나타난 주제 의식 김우연 1. 들어가며 맥34집에는 16명의 회원들이 76편의 시조를 발표하였다. 1980년에 창간호를 발간한 이후 연간집을 꾸준히 발간해오고 있다. 아직도 시조가 고루하다는 편견에 젖어 있는 사람들이 지식층에도 상당수가 있.. 김우연의 동인지, 시집 평론 2015.01.10
백점례 첫 시집 '버선 한 척'에 나타난 의식 세계 백점례 첫시집『버선 한 척』에 나타난 의식 세계(2014.2.).hwp 백점례 첫 시집『버선 한 척』에 나타난 의식 세계 김우연 1. 백점례 시인의 첫 시조집 『버선 한 척』(만인사, 2014.)에는 68편의 시조가 실려 있다. 연시조 58편(87%), 사설시조 5편(7%), 단시조 4편(6%)으로 연시조 위주로 창작하고 .. 김우연의 동인지, 시집 평론 2014.02.17
맥.33호에 나타난 제재의 분포 / 김우연 맥.33호에 나타난 제재의 분포.hwp 『맥․33호』(2013)에 나타난 제재의 분포 / 김우연 제재의 확산은 주제로 향하여 굴곡된다고 한다. 따라서 주제와의 연계성에서 제재의 실상은 보다 뚜렷이 노정되게 마련이다. 이동철은 시조의 제재가 어떻게 분포되었는가를 분석하기 위해 “제재의 .. 김우연의 동인지, 시집 평론 2013.12.17
참6집 / 참동인회 참6집.hwp 참6집 발간을 축하하며 참동인회에서 발간한 『참』6집 발간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알차고 귀중한 시조집을 보내주셔서 정말 고맙습니다. 정독하여 읽어보았더니 ‘참’시조집임이 느껴졌습니다. 5명의 회원이 각각 10편씩 발표한 것을 보니 대단한 생각이 들었습니다. 육필.. 김우연의 동인지, 시집 평론 2013.12.15
김영애 시조집 ,『씀바귀가 여는 봄 하늘』-김우연 해설 『씀바귀가 여는 봄 하늘』(2013.11).hwp 『씀바귀가 여는 봄 하늘』이 꽃 피운 비단 한 필 김우연 안녕하세요? 저는 대구에 살고 있는 김우연입니다. 직장은 구미 사곡고등학교에 국어교사로 재직 중입니다. 소중한 시집 『씀바귀가 여는 봄 하늘』을 잘 읽었습니다. 시집 발간을 축하드립.. 김우연의 동인지, 시집 평론 2013.12.14
맥33호 해설 / 김우연 맥.33호_해설(김우연).hwp 맥․33호(맥시조문학회 2013년 연간집) -『동백도 지쳐 못 피어』해설 김우연 Ⅰ. 들어가며 맥시조문학회는 1979년에 창립(‘비화시조문학회’, 2000년에 회의 명칭을 ‘맥시조문학회’로 개칭) 하여 매년 동인지를 발간해 왔다. 금년에 33집을 내면서 조영두 회장.. 김우연의 동인지, 시집 평론 2013.11.28
최화수 시인 첫시집 『풀빛 엽서』를 읽고/ 김우연 『풀빛 엽서』를 읽고 김우연 Ⅰ. 최화수님의 첫시조집 『풀빛 엽서』를 세상에 드러냄을 축하드립니다. 동심으로 가득한 한 폭의 수묵담채화와 같은 곱고 맑은 시들로 읽는 이의 가슴을 울려왔습니다. 『풀빛 엽서』에는 모두 54편의 작품이 게재되었으며, 단형시조 13편, 연시조 38편, .. 김우연의 동인지, 시집 평론 2013.11.19
진길자 시인의『쉬어가렴, 사람아』를 읽고/ 김우연 진길자 시인의『쉬어가렴, 사람아』를 읽고 김우연 책을 잘 받고 잘 읽었습니다. 시조와 사진이 함께 있어 아름다운 시집입니다. 이름이 묻혀 있는 저에게 이 귀중한 책을 받게 인연은 영남시조문학회 회원 때문인지도 모릅니다. 얼굴을 뵌 적은 없지만 책을 읽고 나서 그 고마움에 대한 .. 김우연의 동인지, 시집 평론 2013.11.13